세계 최대 스마트폰 시장인 중국에서 휴대전화 보급률이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성장세가 둔화해 교체수요 잡기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10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이 매체는 IT 전문 시장조사업체 IDC의 최신 자료를 인용해 중국의 올해 1분기 스마트폰 출하량이 지난해 동기 대비 4.3% 감소했으며 이는 최근 6년간 처음 있는 일이라고 전했다.
다른 시장조사업체 집계에서는 같은 기간 출하량이 늘어나기는 했으나 이전보다 증가세가 뚜렷하게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이 중국에서 처음 스마트폰을 구입하는 소비자가 사라졌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의 책임연구원 톰 강은 중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이 90% 이상에 달한다면서 "중국은 이제 교체구매 시장"이라고 말했다.
WSJ는 이러한 상황에서 주요 스마트폰 업체들은 2년 주기로 단말기를 바꾸는 소비자들을 잡아야 한다고 내다봤다.
애플이나 삼성전자 등 외국 업체나 다른 중국 업체들이 갈수록 고가의 대화면 단말기에 집중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라고 WSJ은 분석했다.
아이폰의 하청생산업체인 페가트론의 찰스 린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중국의 (韩国企业招聘)스마트폰 시장은 기본적으로 애플과 같은 최고급과 초저가 제품으로 나뉘어 있다"며 "그 중간급은 갈수록 고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애플의 경우 이미 중국 내 아이폰 판매량이 미국 판매량을 뛰어넘은 상태다.
IDC의 올해 1분기 집계에서도 애플은 아이폰6와 아이폰6플러스 판매에 힘입어 샤오미 등을 제치고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동기 점유율 1위였던 삼성전자는 4위로 떨어졌으나 최근 내놓은 갤럭시S6를 바탕으로 점유율을 다시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폭발적으로 늘어났던 중국의 스마트폰 수요가 다소 잦아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지만 8천850만명에 달하는 중국 휴대전화 이용자의 대다수는 아직 저사양 보급형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어 고급 제품 수요는 충분하다"고 말했다.
推荐阅读more